Su Jung produces installations, objects, videos and performances based on fiction and characters she creates. Jung is interested in how a poetic phenomenon occurs in visual and linguistic territories. By paying keen attention to the effect, Jung consistently explores aesthetic experiences led by the complement and conflict of these two spheres intertwined in her practice.  

Above all, she transforms the failures (fallacy) and possibility (transcendence) of association into materials for her spatial-temporal works by borrowing metaphor and metonymy, peculiar cognitive phenomena. This approach spotlights the limits of human beings and consequently connects to existentialistic agony cast over the works. 

In the cases of video and performance included in temporal art, she takes advantage of linguistic errors, ironies or rhythms to deliver some philosophical issues straightforwardly. Jung said, “Man stutters. Language staggers.” This sentence portrays an individual who cannot stop oneself within impossibility and unknowability, appearing in her time-based works. The scepticism and disappointment one encounters repeat in empty language and address a question, “Is what we know really what we know?”  

On the other hand, her space-based works, like installations and objects, are another axis of her practice. Generally, her installations are part of ruins left behind by narratives, and her objects are fragments of flayed skin left after narratives penetrated. By emphasising the absence of narratives and evoking a strong sense of deja vu, these encourage the viewers to use their memories and interpretations and paradoxically underline the potential of the narratives of her visual works. Thus, her visual works are “beings” that strongly remind her of “non-being”; they eventually attain a unique position where they have the value of being by non-being. 



정수는 직접 쓴 픽션과 캐릭터를 바탕으로 설치, 오브제, 비디오, 퍼포먼스를 생산한다. 시적 효과가 작동하는 방식에 관심을 갖고 이 현상이 언어와 시각 두 분야 모두 발생한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언어와 시각이 종횡으로 엮인 작품 속에서 두 영역이 보완하고 충돌하며 만들어내는 미학적 경험을 지속적으로 탐구한다. 특히, 은유와 환유라는 특수한 인지적 현상을 적극 이용하여 어떤 언어나 시각적 장치를 마주할 때 발생하는 연상작용의 실패(오류)와 가능성(초월)을 시공간적 작업의 재료로 전환한다. 이는 인간 본연의 한계를 드러내고 궁극적으로 작품 속에 드리운 존재론적 고민과 결국 맞닿아 있다.

시간 예술에 속하는 그의 비디오나 퍼포먼스는 언어적 오역, 모순, 운율 등을 활용해 이 철학적 문제를 직설적으로 전달한다. 작가는 “사람은 말을 더듬고 말은 비틀거리며 걸어간다 (Man stutters. Language staggers)”고 말하며 비디오나 퍼포먼스에서 묘사된 불가능성과 불가지不可知(알 수 없음) 안에서 멈추지 못하는 개인의 초상을 그린다. 그때 마주한 좌절과 회의는 텅 빈 언어에 갇혀 그의 글 속에서 되풀이 되며 우리가 안는 것이 진정 아는 것인지 묻는다.

반면, 공간을 다루는 오브제와 설치는 비디오나 퍼포먼스와는 다른 방식으로 그의 작품 세계의 다른 축을 형성한다. 그의 설치는 대체로 서사가 남긴 폐허의 일부이고, 그의 오브제는 대체로 서사가 관통하고 남겨진 허물로 작동한다. 이들은 서사의 부재를 강조하고 강한 기시감을 일으켜 보는이의 기억과 해석을 독려하여 시각 작품이 가진 서사적 잠재력을 역설한다. 결국, 그의 시각물은 ‘없음’을 강렬하게 연상시키는 ‘있음’이며, 이들은 ‘없음’을 드러낼 때 그’ 있음’의 가치를 획득하게되는 독특한 위치를 점하게된다.




All Contents ⓒSu Jung